MY MENU
제목

[서울대 과학문화연구센터] 벤자민 엘만(프린스턴대학) 교수 대중강연

작성자
신민철
작성일
2013.09.13
첨부파일1
조회수
8882
내용


제3회 템플턴 「동아시아의 과학과 종교」 대중강연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에서 주최하는 제3회 템플턴 「동아시아의 과학과 종교」프로젝트에서는

프린스턴대학의 벤자민 엘만(Benjamin A. Elman) 교수를 모시고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대중강연을 마련하였습니다.



근대 초 세계 속의 중국, 일본, 한국: 새로운 역사서술의 모색

China, Japan, and Korea in the Early Modern World: A New Historiography



벤자민 엘만(Benjamin A. Elman) 교수 | 프린스턴대학 동아시아학부&사학과



일시 : 2013년 9월 25일 (수요일) 오후 3-5시

장소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501동 1층 목암홀



# 강연 초록

19세기 말 ‘일본의 부상’과 ‘중국의 몰락’은 중국학과 일본학, 그리고 20세기 세계사 인식을 지배한 전통적인 내러티브이다. 나는 1894-95년, 일본의 청일전쟁 승리를 둘러싸고 벌어진 2006년의 인터넷 논쟁을 단서로 삼아, 21세기의 우리가 ‘근현대’ 중국과 일본이 마주하고 있는 새로운 역사적 지평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전쟁과 문화사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육전·해전의 승자와 패자가 구성한 경쟁-보완의 내러티브는 과거를 이데올로기의 농무(濃霧) 속에 은폐시키곤 한다. 1894-95년에 일어난 ‘최초의’ 중일전쟁(어쩌면 이 전쟁은 중국과 일본간의 두 번째나 세 번째 전쟁이었을지도 모르지만)이 뿜어낸 그 안개 속을 헤쳐가다 보면 우리는 1894년 이전 중일간의 문화교류를 덜 목적론적이고 덜 맹목적인 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게 될 것이다.

메이지시대, 사건이자 내러티브로서 ‘일본의 부상’(rise of Japan)은, 중국 예술과 전통시대 중국사의 ‘퇴락’(decadence)에 대한 유난히 근대주의적인 비평들을 고무시켰으며, 편리하게도 중국의 혁명가들에게는 전후 동아시아 세계에서 ‘실패한 중국’(failed China)이라는 이미지를 제공하였다. 유사한 지적·문화적 흐름들은 한국을 뒤흔들기도 했다.



# 연사 약력

2011-현재 Gordon Wu '58 Professor of Chinese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2002-현재 Professor,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 Department of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1986-2002 Associate Professor (1986-89) & Professor (1989-2002), Department of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80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A: Ph.D.
1968 Hamilton College, Clinton, NY: B.A.




# 대표 저서

From Philosophy to Philology: Intellectual and Social Aspects of Change in Late Imperial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예문서원, 2004)
A Cultural History of Modern Science in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A Cultural History of Civil Examinations in Late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On Their Own Terms: Science in China, 1550-1900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Civil Examinations and Meritocracy in Late Imperial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근간)



서울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드림

email : templetonsreap@snu.ac.kr

hompage : http://phps.snu.ac.kr/scrc/templetonsreap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