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1965. 11. 5 발기인총회
장소 : 서울대학교 동양사연구실
참석자 : 高柄翊, 全海宗, 李龍範, 鄭秉學, 咸洪根, 閔斗基, 鄭起燉, 吉玄益, 金種圓, 尹南漢

1965. 11. 20 창립총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실
참석자 : 함홍근, 신채식, 김념자, 최소자, 길현익, 이공범, 김기주, 민두기, 윤남한, 정기돈, 박례재, 엄영식, 신태현, 김용기, 김익호, 정재각, 김준엽, 김재만, 신연철, 이용범, 김창수, 조영록, 황원구, 전해종, 고병익, 김종원, 하재현, 이종운, 채희순, 김엽, 황종동 등이 참가하여 학회 창립취지를 찬동하고 간사 선출 등을 거쳐 '동양사학회'를 창립함.
대표간사: 전해종, 총무: 윤남한, 편집: 함홍근, 연구: 이용범, 사업: 엄영식 등을 선임
지방연락간사: 대전-정기돈, 대구-김익호, 부산-김용기, 전주-김귀달 등을 위촉

1966. 12 월례발표회 최초로 시행

1966. 2 『東洋史料抄輯』(大韓公論社 출판) 발간

1966. 10 『東洋史學硏究』 창간

1968. 『東洋史料續編』 출간

1968. 6. 4 연구간사로 권석봉을 보선함

1968. 11. 16 대표간사로 고병익을 보선함

1970 『東洋史論文選輯』 출간

1969. 5. 31
대표간사: 고병익, 총무: 윤남한, 편집: 황원구, 연구: 이공범, 사업: 정기돈 등을 선임
지방연락간사: 대구-김익호, 부산-김용기 등을 위촉

1970. 3. 28 동양사학 심포지움 개최
「동양사연구의 반성과 과제」라는 주제로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회의실에서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와 공동 개최

1970. 6. 26
대표간사: 전해종, 총무: 황원구, 편집: 민두기, 연구: 신채식, 사업: 조영록 등을 선임
지방간사: 김 엽 위촉

1973. 6. 2
대표간사: 이용범, 총무: 조영록, 편집: 오금성, 연구: 김종원, 도서: 길현익 등을 선임

1975. 5. 31
대표간사: 윤남한, 총무: 권석봉, 편집: 최소자, 연구: 김기주, 사업: 신승하 등을 선임

1975. 8. 4
지방간사: 경북(대구)-홍순창, 경남(부산)-민성기, 전남(광주)-정경모, 전북(전주)-송준호, 충남(대전)-신채식, 충북(청주)-이동복, 강원(춘천)-박종렬 등을 위촉

1977. 5. 28
회장: 함홍근, 총무: 최소자, 편집: 신승하, 연구: 이병주, 사업: 신채식 등을 선임
지방간사: 경북(대구)-홍순창, 경남(부산)-민성기, 전남(광주)-정경모, 전북(전주)-송준호, 충남(대전)-정기돈, 충북(청주)-이동복, 강원(춘천)-박종렬 등을 위촉

1979. 5. 26
회장: 황원구, 총무·사업-김문경, 편집·기획: 김종원, 연구·섭외: 이병주, 도서·문서: 오금성등을 선임 지방간사: 경북(대구)-홍순창, 경남(부산)-민성기, 전남(광주)-정경모, 전북(전주)-송준호, 충남(대전)-정기돈, 충북(청주)-이동복, 강원(춘천)-박종열 등을 위촉

1981 제1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외국에 있어서 동양사 연구의 최근 평가」라는 주제로 수안보에서 개최

1981. 6. 20
회장: 이공범, 총무: 이춘식, 편집: 권중달, 연구: 조영록, 도서: 김용덕 등을 선임
지방간사: 경북-변인석, 경남-김종원, 전남-이계명, 전북-송준호, 충남-정기돈, 충북-이동복, 강원-박종렬 등을 위촉

1983 제2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현대사 연구의 문제점」이라는 주제로 대구 영남대학교에서 개최

1983. 3 『槪觀東洋史』(知識産業社 출판) 출간

1983. 5. 28
회장: 민두기, 총무: 김용덕, 편집: 김념자, 연구: 유인선, 섭외: 신용철 등을 선임
1983. 6. 15 『東洋史學硏究』 연 2회(6월, 12월) 발간을 결정

1983. 10. 29
매월 개최하던 월례발표회를 대신하여 秋季東洋史學硏究發表會를 매년마다 열기로 결정하고 한국방송통신대학에서 최초로 개최(1965년 12월부터 1983년 9월까지 94회의 월례발표회 및 집담회 개최함)

1984. 1. 26∼28 제3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사의 시대구분」이라는 주제로 온양 제일관광호텔에서 이화여대 사학과가 주최

1985. 1. 25∼27 제4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사에 있어서의 토지제도」이라는 주제로 정읍 내장산관광호텔에서 경희대 사학과가 주최

1985. 5 『中國 國民革命의 分析的 硏究』(知識産業社 출판) 출간

1985. 6. 1
회장: 탁용국, 총무: 이성규, 편집: 신용철, 연구: 박영재, 섭외: 윤내현 등을 선임

1986. 1. 27∼29 제5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유학사상의 제문제」라는 주제로 창원 부곡하와이호텔에서 경희대 사학과·안동대 사학과 주최

1987. 2. 12∼14 제6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북방유목민족사연구의 제문제」라는 주제로 아산 도고호텔에서 단국대 사학과가 주최

1987. 5. 30
회장: 김문경, 총무: 박원호, 편집: 지배선, 연구: 최갑순, 도서: 이성규 등을 선임

1987. 10. 15 제13회 중앙문화대상(학술부문·학술대상·단체)을 수상.

1988. 2. 11∼13
제7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사상의 민족운동」이라는 주제로 부산 극동호텔에서 부산산업대 사학과가 주최

1988. 5. 『東洋史學硏究』 연 3회(1월, 5월, 9월) 발간을 결정

1989. 2. 9∼11
제8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에서의 지배계층」이라는 주제로 유성 리베라호텔에서 중앙대 중국연구소가 주최

1989. 5. 27
회장: 조영록, 총무: 박원호, 편집: 이범학, 연구: 박한제, 섭외: 김한규 등을 선임

1990. 2. 8∼10 제9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동아시아사에서의 황제」이라는 주제로 춘천 세종호텔에서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가 주최

1991. 1. 28∼30
제10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및 국제학술토론회를 北京 友誼賓館에서 개최

1991. 6. 1
회장: 신채식, 총무: 박한제, 편집: 김종박, 연구: 정하현, 섭외: 하정식 등을 선임

1991. 6.
『中國史硏究的成果與展望』(東洋史學會第十屆硏究會曁國際學術討論會)가 中國社會科學出版社에서 출간

1992. 1. 27∼29
제11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및 국제학술토론회를 「중국사에서의 지배구조와 사회변동의 제문제」라는 주제로 목포 신안비치호텔에서 개최

1992. 5. 30 『東洋史學硏究』 연 4회(1월, 5월, 7월, 10월) 발간을 결정

1993. 2. 10∼12 제12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동아시아사상의 향촌」라는 주제로 온양 관광호텔에서 개최

1993. 5. 20 『東亞史上의 王權-東洋史學會硏究叢書 1』(한울아카데미 출판) 출간

1993. 5. 22
회장: 변인석, 총무: 김구진, 편집: 김종박, 연구: 백영서, 섭외: 김호동 등을 선임

1994. 1. 27∼29 제13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동아시아사에서의 개혁과 변동」이라는 주제로 인천 송도비치호텔에서 개최

1995. 2. 13∼15 제14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과 동아시아 세계」이라는 주제로 中國 天津(利順德)에서 아주대 사학과·南開大 歷史系가 주최.

1995. 5. 20 『中國과 東아시아世界』(國學資料院 출판) 출간

1995. 5
東洋史學會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東洋史學硏究』 50집을 「한국 동양사학계의 새로운 연구방향 모색」이라는 주제하에 특집호로 발간

1995. 5. 30
회장: 오금성, 총무: 김호동, 편집: 김유철, 연구: 김태승, 섭외: 박기수 등을 선임

1995. 10. 28
동양사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1995년도 추계동양사학 연구발표회를 서울대학교 인문관에서 개최

1996. 1
지방과의 교류와 업무를 원활히 하기 위해 새롭게 지방이사를 선임 (경기-이계황, 충북-전순동, 충남-김선욱, 전북-송정수, 전남·제주-이홍길, 경북-김한식, 경남-최덕경)

1996. 1. 23∼28 제15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 강남사회와 한중 문화교류」라는 주제로 中國 杭州(花港飯店)에서 동양사학회·杭州大學 주관하에 동국대 사학과, 杭州大學 韓國學硏究所·歷史系가 주최함

1997. 1. 30∼2. 1 제16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동아시아사에서의 국가권력과 정통성」이라는 주제로 대전 경원관광호텔에서 충남대 사학과가 주최.

1997. 5. 31
회장: 박원호, 총무: 김택민, 편집: 최희재, 연구: 이계황, 섭외: 김태승,
지방이사: 인천·경기-박지훈, 충북-전순동, 대전·충남-김용완, 전북-송정수, 광주·전남·제주-이홍길, 대구·경북-김한식, 부산·경남-최덕경 등을 선임

1998. 2. 12∼14 제17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동아시아사상의 국제관계」라는 주제로 광주 화순금호리조트에서 전남대학교 사학과가 주최.

1999. 2. 4∼6 제18회 동양사학회 연구토론회 개최
「중국사에 끼친 아시아 외래문화의 영향」이라는 주제로 용인 한화리조트에서 명지대 사학과가 주최함.

1999. 5. 20 『韓國東洋史硏究者論著總目錄』(景印文化社 출판) 출간

1999. 5. 29
회장: 이성규, 총무: 김유철, 편집: 강명희·박지훈, 연구: 윤병남, 정보: 김형종, 섭외: 김택민,
지방이사: 강원-나현수, 충북-전순동, 대전·충남-이주현, 전북-송정수, 광주·전남·제주-최진규, 대구경북-이개석, 부산·경남-배경한 등을 선임

1999. 10. 30 1999년 추계연구발표회 개최
장소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8개 분과 32편 논문발표

2000. 1. 27~28 제19회 동계연구토론회 개최
주제 : 東아시아史上의 地域과 國家.
주관 : 서강대학교 사학과. 장소 : 천안 상록회관

2000. 10. 28 2000년 추계연구발표회 개최
장소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7개 분과 27편 논문발표

2001. 2. 1~2 제20회 동계연구토론회 개최
주제 : 東아시아史上의 輿論과 政治
주관 :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장소 : 수안보 상록회관

2001. 5. 26 2001-2003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최소자, 총무: 최희재·박지훈, 편집: 김형종·하원수, 연구: 송정수·함동주, 섭외: 김유철,
지방이사: 강원-나현주, 충남-이주현, 전북-송정수, 전남· 제주-최진규, 경북-이개석, 경남-배경한 등을 선임

2001. 10 2001년 추계학술발표회 개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7개 분야, 31편 논문발표

2002. 1. 31~2. 1 제21회 동계연구토론회 개최
주제: 아시아 史上의 宗敎와 國家權力
주관: 충북대학교, 장소: 초정약수 스파텔

2002. 10. 26 2002년 추계학술발표회 개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7개 분야, 32편 논문발표

2003. 2. 6~2. 7 제22회 동계연구토론회 개최
장소: 남원 한국콘도

2003. 5. 31 2003-2005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조병한, 총무: 김형종, 편집: 원정식·김세호, 연구: 정병준··박기수, 섭외: 조명철,
지방이사: 강원-남기학, 경남-유장근, 경북-이윤화, 전남-차웅환, 충북-최병수, 전남·제주-최진규 등을 선임

2003. 10. 25 2003년 추계학술발표회 개최
장소: 서강대학교 인문관, 7개 분야, 29편 논문발표

2004. 1. 29~30 제23회 동계연구토론회 개최
주제: 동아시아 역사상의 상인과 시장
주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장소: 대천 수련원

2004. 10. 30 2004년 추계학술발표회 개최
장소 : 서강대학교 인문관, 5개 분야, 25편 논문발표

2005. 1. 27~28 제24회 동계연구토론회
주제: 동아시아 역사상의 기호식품과 일상생활
주관: 성균관대학교, 장소: 수안보 상록호텔

2005. 5. 31 2005-2007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박한제, 총무: 김병준, 편집: 하원수·김수영, 연구: 김영제·전형권, 섭외: 정하현·김선민,
지방이사: 강원-남기학, 경남-유장근, 경북-이개석, 전북-송정수, 충남-장인성 광주·전남·제주-유원적 등을 선임

2007. 5. 31 2007-2009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송정수, 총무: 노기식, 편집: 정철웅·이근명, 연구: 최진규·임성모, 섭외: 손준식·윤재석, 정보:신성곤, 지방이사: 경기-전인갑, 강원-남기학, 충북-임병덕, 전북-유지원, 광주·전남-정병철, 대구·경북-강판권, 경남-강길중 등을 선임

2009. 5. 31 2009-2011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김택민, 총무: 박상수·김호, 연구: 박훈·정문상, 편집: 윤휘탁·김경호, 섭외: 정혜중, 정보: 강경락, 지방이사: 강원-남의현, 대전·충남-정순모, 충북-민덕기, 전북-김석우, 광주·전남-송한용, 대구·경북-손승희, 경남-강길중, 부산-박강 등을 선임

2011. 5. 31 2011-2013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김호동, 총무: 박훈·최재영, 연구: 한정선·김성수, 편집: 정재훈·정혜중, 섭외: 박경석, 정보: 진세정, 지방이사: 강원-원정식, 대전·충남-김세호, 충북-임병덕, 전북-김석우, 광주·전남-이성원, 대구·경북-홍성구, 경남-강길중, 부산-신동규 등을 선임

2013. 5. 31 2013-2015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박기수, 총무: 김경호·홍성화, 연구: 구범진·김석우, 편집: 임병덕·김승욱, 섭외: 송완범, 정보: 차혜원, 지방이사: 강원-원정식, 대전·충남-이주현, 충북-이병인, 전북-김성규, 광주·전남-송한용, 대구·경북-윤재석, 경남-전형권, 부산-최덕경 등을 선임

2015. 5. 31 2015-2017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강명희, 총무: 최재영·이원준, 연구: 박수철·송미령, 편집: 김정열·김성수, 섭외: 김경호, 정보: 최해별, 지방이사: 강원-원정식, 대전·충남-정순모, 충북-임병덕, 전북-김유리, 광주·전남-송한용, 대구·경북-윤재석, 경남-정재훈, 부산-최덕경 등을 선임

2017. 5. 31 2017-2019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정하현, 총무: 박수철·이원준, 연구: 정혜중·이형식, 편집: 김한신·김성수, 섭외: 정문상, 지방이사: 강원-원정식, 대전·충남-이주현, 충북-임병덕, 전북-박영철, 광주·전남-김성한, 대구·경북-윤재석, 경남-정재훈, 부산-최덕경 등을 선임

2019. 5. 31 2019-2021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김형종, 총무: 문명기·이원준, 연구: 설배환·조영헌, 편집: 박경석·송진, 섭외: 진세정, 지방이사: 강원-원정식, 대전·충남-이주현, 충북-임병덕, 전북-박영철, 광주·전남-김성한, 대구·경북-윤재석, 경남-정재훈, 부산-최덕경 등을 선임

2021. 1. 1 2021-2022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차혜원, 총무: 윤형진·최해별, 연구: 김선민·김용찬, 편집: 손성욱·양진성, 섭외: 유지아, 지방이사: 강원-원정식, 대전·충남-이주현, 충북-임병덕, 전북-박영철, 광주·전남-김성한, 대구·경북-윤재석, 경남-정재훈, 부산-최덕경 등을 선임

2023. 1. 1 2023-2024회기 신임이사회 구성
회장: 김병준, 총무: 김용찬·김석환, 연구: 채준형·채경수·정지희, 편집: 손성욱·양진성·김한웅, 섭외: 조원, 지방이사: 강원-원정식, 대전·충남-권민균, 충북-임병덕, 전북-박영철, 광주·전남-김성한, 대구·경북-윤재석, 경남-정재훈, 부산-김정식 등을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