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주제: 동아시아 역사 속의 통합과 분열
주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후원: 동북아역사재단
일시: 2019년 4월 27일(토)
장소: 서울대학교 14동
<전체 일정>
09:30~10:00 참가자 등록
10:00~12:30 오전 분과 발표
12:30~14:00 점심시간
14:00~17:00 오후 공동세션
17:10~17:40 총회
18:00~19:00 학회 리셉션
<장소>
[고중세사학회] 14동 203호
[송원사학회] 14동 202호
[명청사학회] 14동 207호
[근현대사학회] 14동 102호
[일본사학회] 14동 103호
[공동세션] 14동 B101호
[총회] 14동 B101호
<분과별 발표>(10:00~12:30)
[고중세사학회: 14동 203호] 사회 최재영(한림대)
秦漢時代 馬政과 그 전개
발표 : 김보람(서울대) 토론 오준석(경북대)
6세기 華北 지방의 造像事業으로 본 지역사회 유력자의 존재 양태와 성격
―北朝 義邑造像記에 기록된 邑職을 중심으로―
발표 : 정재균(충북대) 토론 : 김석우(원광대)
[송원사학회: 14동 202호] 사회 김한신(경남대)
遼 말기 燕京 社會의 동요와 常勝軍
발표 : 이근명(한국외대) 토론: 이석현(덕성여대)
몽골의 중국 지배와 “종교”의 정의: 무슬림, 유대인, 백운종과 “유호”의 비교를 중심으로
발표 : 조원희(한국학중앙연구원) 토론 : 권용철(서울대)
[명청사학회: 14동 207호] 사회 김택경(용인대)
인도양 교역 네트워크와 대일통―운남 변경에서의 互市를 중심으로
발표: 한지선(조선대) 토론: 김경록(군사편찬연구소)
1860~70년대 조선 사신단의 사진을 통해 본 열려진 북경
발표: 손성욱(중국 산동대) 토론: 정은주(한국학중앙연구원)
[근현대사학회: 14동 102호] 사회 진세정(이화여대)
친공(親共)과 애국 사이: CIA 문서를 통해 본 냉전초 동남아 화상의 대중(對中)인식
발표 : 김종호(서강대 동아연구소) 토론 : 여운경(서울대)
청조의 ‘번속’ 문제에 대한 외교적 대응(1885-1894)―태국, 미얀마. 坎巨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 : 이동욱(고려대) 토론 : 정혜중(이화여대)
[일본사학회: 14동 103호]
【제1부】 사회 김현아(숙명여대)
도바타 세이이치와 제국 일본의 식민정책학
발표 : 엄소정(서울과학기술대) 토론 : 김상현(한양대)
전시일본의 보육정책: 전시보육과 도쿄의 전시탁아소를 중심으로
발표 : 김경옥(도쿄대) 토론 : 남상호(경기대)
【제2부】 사회 김선희(건국대)
제1차 세계대전 후의 일본 황실의 위기와 육군의 대응
발표 : 박완(강릉원주대) 토론 : 이승희(동덕여대)
예수회와 임진전쟁, 최근의 平川新 씨 연구에 대한 비판
발표 : 박경수(강릉원주대) 토론 : 김문자(상명대)
<공동세션>(14:00~17:00)
[동아시아 역사 속의 통합과 분열]
【제1부】 사회: 고명수(충남대)
秦의 爵制와 통일 정책
발표 : 김동오(서울대) 토론 : 김진우(한국국학진흥원)
몽골제국은 어떻게 정의를 달성했는가?―訴訟의 재구성과 제국의 법 현실
발표 : 설배환(전남대) 토론 : 조원(세종대)
【제2부】 사회 이원준(인천대)
중화민국 초기 보수파의 再儒化 시도와 그 좌절: 1911년 이후 孔敎派 및 淸末 遺老의 활동을 중심으로
발표 : 지관순(연세대) 토론 : 이춘복(중앙대)
‘제국 일본’의 제신, 메이지천황의 탄생
발표 : 박삼헌(건국대) 토론 : 김종식(아주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